반응형

git init - 저장소 만들기

git init

로컬 Git 저장소를 설정합니다.

작업

  1. sample 디렉토리 생성
  2. red, orange 파일 추가
  3. sample 디렉토리를 로컬 저장소로 설정

실습






 
mkdir sample
cd sample
touch red orange
echo "빨강" >> red
echo "주황" >> orange
git init

mkdir, cd, touch, echo 명령어

터미널 명령어를 소개합니다. Git도 배우고 터미널 명령어도 배우고 1석2조!

  • mkdir: 디렉토리 생성
  • cd: 디렉토리로 이동
  • touch: 빈 파일 생성
  • echo "[글자]" >> [파일]: 파일에 글자 추가

결과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Users/cs.kim/Workspace/github.com/subicura/sample/.git/
  • sample 디렉토리에 Git 저장소 생성
  • 디렉토리 하위에 .git 디렉토리 생성 - Git과 관련된 정보 저장
  • 쉘 프롬프트가 ➜ sample에서 ➜ sample git:(main) ✗로 변경

main branch

기본 브랜치 설정이 master인 경우 main 대신 master로 설정됩니다. 최근 master 대신 main을 쓰는 추세고 master로 설정되었다면 git branch -M main 명령어로 브랜치를 main으로 변경해주세요.

 

 

 

출처 :  https://subicura.com/git/guide/basic.html#git-init-%E1%84%8C%E1%85%A5%E1%84%8C%E1%85%A1%E1%86%BC%E1%84%89%E1%85%A9-%E1%84%86%E1%85%A1%E1%86%AB%E1%84%83%E1%85%B3%E1%86%AF%E1%84%80%E1%85%B5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ommit - 현재 상태 저장  (0) 2023.11.13
git add - 현재 상태 추적  (0) 2023.11.13
git status - 현재 상태 확인  (0) 2023.11.13
git 명령어 모음 1  (0) 2023.11.13
git 과 github  (0) 2023.11.13

+ Recent posts